mobile background

 걸어온 길


   1985년

    6월 4일 부산 가톨릭대학교(전 지산간전) 간호학과 2학년 휴학과 함께 정단원 입단

 

   1985년

    세태풍자극 「시절 한 번 좋구나」 (소극장두레마당 개관공연)

 

   1986년

  「맹진사댁 경사」(부산구덕실내체육관)

 

   1987년

   한국문학 재해석 「새허생이야기」(소극장두레마당)

   어린이들을 위한 연극 「청개구리는 날이 궂으면 왜 우는가.」(태화쇼핑 이벤트홀)

 

  1988년

   극단「두레」를 극단「새벽」으로 명칭 변경

   광주항쟁 재현극 「5월 별신굿」(소극장두레마당)

 

   1989년

   참교육과 교단 민주화를 위한 공연 「수/우/미/양/가」(소극장두레마당), 창단 5주년 행사

 

   1990년

   섬유산업 노동자들을 위한 연극 「다시 서는 사람들」,

   언론민주화와 언론노동자들을 위한 공연 「나랏님 말싸미」(소극장두레마당)

 

   1991년

   현실 상황극 「지금·이곳-」(민족굿터'신명천지')

 

   1992년

   우끼시마호 폭침 사건 추적극 「폭침-우끼시마호는 부산항으로 못간다」(예술극장 한마당 -서울, 민들레소극장-광주, 부산 시민회관)

 

   1993년

  「아이꼬의 노래」(가마골소극장)

 

   1994년

   갑오농민항재 100주년 기념공연「새야 매야」(서울문예회관/일본쿄도,고베,오사카 3개지역순회) - 창단 10주년 행사

 

   1995년

   원폭피해자들을 위한 공연 「히바쿠샤」,「새 허생이야기」(소극장실천무대)

   민가협 어머니들을 위한 공연 「어머니」(경성대콘서트홀)

  「제1회 아시아연극인페스티발」(서울· 부산 동시 개최/서울-동숭아트센터, 부산-경성대 콘써트홀) 기획

 

   1996년

   이땅의 어머니와 딸들을 위한 공연, 윤명숙 일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소극장실천무대)


   1997년

   세태풍자극「아닌 밤중에」(소극장실천무대)

  「제2회 아시아연극인페스티발」기획 (부산문화회관, 경성대 콘써트홀, 태양아트홀, 소극장실천무대)

   철거민과 달동네 사람들을 위한 공연, 노래가 있는 연극「달과 곱추」(소극장실천무대)

 

   1998년

   여성들을 위한「생과부 위자료 청구소송」, 현실상황극「이의 있습니다」(소극장실천무대)

   분단 이산 가족을 위한 공연「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부산 경성대 콘써트홀)

  「98 메이데이문화제」참가

 

   1999년

   해고노동자들을 위한 「3인 특별위원」

  「99 메이데이문화제」 참가

  「제3회 아시아연극인페스티발」 참가 (일본 야마구치현 하구루마좌 예술회관) - 창단 15주년 행사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소극장실천무대)

 

   2000년

  「2000메이데이문화제」 참가

   윤명숙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소극장실천무대 / 아시아문예센터 설립발기인모집 홍보공연1)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문주공원 중극장) - 「제13회민족극한마당」 참가작

 

   2001년

   아들 어진이를 위한 장기 휴가

 

   2007년

   6월 27일 오후 7시 운명을 달리 함

 

 

공연 앨범

영상 자료

기억하는 글49재에 보내는 일본 가무단 메시지

우리는 윤명숙 씨를 잊지 못할 것입니다.

윤명숙씨! 가무단 단원들이 당신을 처음 만난 때는 부산 메이데미문화제에 참여했을 때였습니다. 극단 새벽 사무실에서 만났었지요.

당신은 메이데이문화제 준비와 공연지도에 열중이었습니다. 그 와중에도 한국에 처음 방문해 어리둥절해 하던 저희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보여주셨습니다. 당신은 저녁 교류회 때 혼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다음날 아침 손수 만든 음식으로 아침식사를 준비했습니다. 덕분에 마치 집에 머문 것처럼 편안하게 지낼 수 있었습니다.
그 이후 매년 연대를 위해 부산을 찾아 오곤했습니다. 우리는 당신의 따듯한 미소와 배려를 잊을 수 없습니다.

윤명숙씨! 우리는 극단 15주년 행사에 초대되었고, 그 때 처음으로 당신이 무대에 선 모습을 보게되었습니다. 한국에 여전히 뿌리박힌 가부장제, 성차별을 형상화한 극이었습니다(“어머니 날 낳으시고”). 한 남성에 의해 굴절된 삶을 살게 된 여성들을 보여주었습니다. 마치 자신의 삶을 그리듯 생생한 공연였습니다. 그때 우리는 배우 윤명숙의 실력을 보게되었습니다. 하지만 저는 맨발로 있던 모습, 이른 아침 식사준비를 위해 쌀을 씻고 있던 모습을 기억합니다. 우리는 당신이 민중이 처한 현실에 함께 서서 연극활동을 하고 있는 모습을 잊지 못할 것입니다.

윤명숙씨! 우리 가무단은 새벽과 당신에게 배우면서 전쟁과 신자유주의를 극복하는 사회를 재구성하는 문화운동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윤명숙씨! 비록 당신의 육신은 사라졌지만 당신은 우리의 마음을 키우고 있습니다. 인류를 위한 싸움이 계속되는 한 당신은 우리와 함께 있을 것입니다.

새벽과 소금꽃, 한국의 동지들과 연대투쟁의 마음을
윤명숙씨 영전에 바칩니다.

겟토노 하나 가무단으로 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