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어온 길


   1985년

    6월 4일 부산 가톨릭대학교(전 지산간전) 간호학과 2학년 휴학과 함께 정단원 입단

 

   1985년

    세태풍자극 「시절 한 번 좋구나」 (소극장두레마당 개관공연)

 

   1986년

  「맹진사댁 경사」(부산구덕실내체육관)

 

   1987년

   한국문학 재해석 「새허생이야기」(소극장두레마당)

   어린이들을 위한 연극 「청개구리는 날이 궂으면 왜 우는가.」(태화쇼핑 이벤트홀)

 

  1988년

   극단「두레」를 극단「새벽」으로 명칭 변경

   광주항쟁 재현극 「5월 별신굿」(소극장두레마당)

 

   1989년

   참교육과 교단 민주화를 위한 공연 「수/우/미/양/가」(소극장두레마당), 창단 5주년 행사

 

   1990년

   섬유산업 노동자들을 위한 연극 「다시 서는 사람들」,

   언론민주화와 언론노동자들을 위한 공연 「나랏님 말싸미」(소극장두레마당)

 

   1991년

   현실 상황극 「지금·이곳-」(민족굿터'신명천지')

 

   1992년

   우끼시마호 폭침 사건 추적극 「폭침-우끼시마호는 부산항으로 못간다」(예술극장 한마당 -서울, 민들레소극장-광주, 부산 시민회관)

 

   1993년

  「아이꼬의 노래」(가마골소극장)

 

   1994년

   갑오농민항재 100주년 기념공연「새야 매야」(서울문예회관/일본쿄도,고베,오사카 3개지역순회) - 창단 10주년 행사

 

   1995년

   원폭피해자들을 위한 공연 「히바쿠샤」,「새 허생이야기」(소극장실천무대)

   민가협 어머니들을 위한 공연 「어머니」(경성대콘서트홀)

  「제1회 아시아연극인페스티발」(서울· 부산 동시 개최/서울-동숭아트센터, 부산-경성대 콘써트홀) 기획

 

   1996년

   이땅의 어머니와 딸들을 위한 공연, 윤명숙 일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소극장실천무대)


   1997년

   세태풍자극「아닌 밤중에」(소극장실천무대)

  「제2회 아시아연극인페스티발」기획 (부산문화회관, 경성대 콘써트홀, 태양아트홀, 소극장실천무대)

   철거민과 달동네 사람들을 위한 공연, 노래가 있는 연극「달과 곱추」(소극장실천무대)

 

   1998년

   여성들을 위한「생과부 위자료 청구소송」, 현실상황극「이의 있습니다」(소극장실천무대)

   분단 이산 가족을 위한 공연「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부산 경성대 콘써트홀)

  「98 메이데이문화제」참가

 

   1999년

   해고노동자들을 위한 「3인 특별위원」

  「99 메이데이문화제」 참가

  「제3회 아시아연극인페스티발」 참가 (일본 야마구치현 하구루마좌 예술회관) - 창단 15주년 행사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소극장실천무대)

 

   2000년

  「2000메이데이문화제」 참가

   윤명숙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소극장실천무대 / 아시아문예센터 설립발기인모집 홍보공연1)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문주공원 중극장) - 「제13회민족극한마당」 참가작

 

   2001년

   아들 어진이를 위한 장기 휴가

 

   2007년

   6월 27일 오후 7시 운명을 달리 함

 

 

공연 앨범

영상 자료

기억하는 글......

언니...
홈커밍데이 보고 계시나요?
재미있죠..
해방을 기록하고 싶었던
푸른 햇새벽을 만나고 싶었던
그러나, 인간해방의 사회학적 새벽을
끝내 만나지 못하고서 떠난,
꽃 '한송이' 를 연기했습니다.(시원챦은 소리여서 내내 걸립니다. ㅋㅋ)

그가 말을 합니다.
'인간의 생명이 위협받는 순간이 오면 카메라를 내려라.
너희는 부디 천박한 저널리즘에 물들지 마라.
저널리즘은 자본주의의 다른 이름이다.
미학적 분리주의자들은 그렇게 말한다.
서정주는 시인이다. 시인은 시로 평가해야 한다.
그가 어떻게 살았든 그의 평가는 시의 미적 완결성에 근거를 두어야 한다고.
하지만, 현혹되지 마라
중요한 건 어떻게 살 것인가이다.
그 다음에 뭘 찍을 것인지 생각해 다오'

사진이란 말을 연극으로 바꾸고 예술로 바꾸면 그게
모두 우리에게 던지는 당신의 말이고
또 어떤 선배의 말이 됩니다.
정말 중요한 건 어떻게 살 것인가..이고
그 다음에 뭘 할 것 생각해야 되는데...
자꾸만 어떻게 살 것인가를 놓치게 되는
아직 어린 우리를 만납니다.

허나,
자꾸 바라보고 생각하다보면
깊은 성찰이 일어날거라 그냥 믿어요.
그걸 보고 있기에
한송이...당신은 많이 힘들겠지만
결코 묻어버릴 수 없는
당신의 꿈...우리의 꿈...이 만났기에
때때로 뒷걸음질 치는 듯해도
조금씩 나아갈 겁니다.

'선배..우리..다시 합니다'

==촛불집회 폭력진압 상황을 보고, 어느 여성 노동자들의 투쟁 1000일 째 고공 농성을 보고, 구조조정을 감당하기 힘들어 자결한 어느 노동자의 뜻을 돈으로 정리하려는 그 가족들의 이야기를 듣고, 비가 구슬프게 내리는 날, 인간해방의 사회학적 새벽을 일구어갈 문화공간 하나 만들려고 바닥에 붙어 땀을 빼고 쉴 새 없이 공사이야기를 하다 진이 빠져 들어온 날, 문득, 내 심장이 고뇌스러운 지 눈물이 나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