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
극단 『두레』 창단 (7월 1일) - 창단공연 『새 할미 전』 (시민회관 대극장)
1985
소극장 두레마당 개관 (부산 서면), 세태풍자극 『시절 한 번 좋구나.』 (소극장 두레마당)
소극장 두레마당 이전 개관 (부산 자갈치), 본격적인 소극장 운동을 시작
1986
극단두레 새해맞이 시민초청 마당놀이 『맹진사댁 경사』 (부산구덕실내체육관)
1987
판놀음 『방자와 마당쇠(이후, ‘새 허생 이야기’로 작품명 변경함)』 (소극장 두레마당)
어린이들을 위한 연극 『청개구리는 날이 궂으면 왜 우는가.』 (태화쇼핑 이벤트홀)
1988
극단 『두레』를 극단 『새벽』으로 명칭 변경, 소극장 두레마당 이전 개관 (부산 양정)
광주항쟁 재현극 『5월 별신굿』 (소극장 두레마당, 대학 초청공연)
1989
참교육과 교단 민주화를 위한 공연 『수/우/미/양/가』 (소극장 두레마당, 6개지역 순회공연)
다국적 기업 한국모토로라 노동조합 쟁취일지 『노동수첩』 (소극장 두레마당, 노동현장 순회공연)
1990
소극장 두레마당 이전 개관 (부산 대연동)
섬유산업 노동자들을 위한 연극 『다시 서는 사람들』 (소극장 두레마당, 대학 초청공연)
언론 민주화와 언론 노동자들을 위한 공연 『나랏님 말싸미』(소극장 두레마당, KBS/MBC 각 지역 노동조합 순회초청공연)
1991
소극장 두레마당 잠정 폐관, 이후 극장 건립을 위한 계획 추진
노래극 『전선-91』 (공업대 체육관, 민족굿터 신명천지, 광주 YMCA강당)
현실상황극 『지금·이곳-!』 (민족굿터 신명천지)
1992
우끼시마호 폭침 사건 추적극 『폭침-우키시마호는 부산항으로 못 간다!』
(서울 예술극장 한마당, 광주 민들레 소극장, 논산/이리/군산 3개지역 순회공연, 가마골 소극장)
1993
『폭침-우키시마호는 부산항으로 못 간다!』 (부산시민회관 소극장), 『아이꼬의 노래』 (가마골소극장)
『오월 참회록』 (대학 초청순회공연)
1994
갑오농민항쟁 100주년 기념공연 『새야 새야』 (서울문예회관 대극장, 일본 쿄도/고베/오사카 순회공연)
극단새벽 창단 10주년 행사 (부산KBS홀)
소극장 실천무대 개관 (부산 부전동)
1995
원폭 피해자들을 위한 공연 『히바쿠샤』 (시민회관 대극장, 문화회관 대극장, 소극장 실천무대)
『피의자-우키시마호 폭침에 관한 단상』, 판놀음 『새 허생이야기』 (소극장 실천무대)
『제1회 아시아연극인페스티발』 기획 (서울·부산 동시 개최 / 서울 동숭아트센터, 부산 경성대 콘서트홀)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어머니들을 위한 공연 『어머니』 (경성대 콘서트홀)
1996
한국문학 재해석 『B사감과 러브레터』, 『피의자-우키시마호 폭침에 관한 단상』 (소극장 실천무대)
이 땅의 어머니와 딸들을 위한 공연, 윤명숙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소극장 실천무대)
1997
윤명숙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공주 아시아 1인극제 참가, 소극장 실천무대 앵콜공연)
세태풍자극 『아닌 밤중에!』 (소극장 실천무대)
『제2회 아시아연극인페스티발』 기획 (부산문화회관, 경성대 콘서트홀, 태양아트홀, 소극장 실천무대)
철거민과 달동네 사람들을 위한 공연, 노래가 있는 연극 『달과 곱추』 (소극장 실천무대)
1998
여성들을 위한 공연 『생과부 위자료 청구소송』, 현실상황극 『이의 있습니다』 (소극장 실천무대),
윤명숙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제11회 목포 민족극 한마당 참가)
통일에 대한 다른 해석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경성대 콘서트홀)
『98 메이데이문화제』 참가
1999
해고 노동자들을 위한 세태풍자 연희극 『3인 특별위원』 (소극장 실천무대)
『99 메이데이문화제』 참가
『제3회 아시아연극인페스티발』 참가 (일본 야마구치현 하구루마좌 예술회관)
창단 15주년 행사,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소극장 실천무대)
2000
아시아문예센터 설립 발기인 모집을 위한 공연, 윤명숙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소극장 실천무대)
『2000 메이데이문화제』 참가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민주공원 중극장) -『제13회 민족극한마당』 참가작
아시아문예센터 설립 발기인 모집을 위한 공연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소극장 실천무대)
2001
소극장 실천무대 이전 개관 (부산 서면)
『2001 메이데이문화제』 참가, 『2001 노동단막극제』 기획 및 주관
남아공 인권 문제에 관한 연극 『아일랜드』 (소극장 실천무대)
2002
『2002 메이데이문화제』 참가 서정극 『역전블루스』, 단막극 모음 『우리 시대의 삽화』 (소극장 실천무대)
2003
재판극 『이의 있습니다』 (소극장 실천무대)
소극장 실천무대 이전 개관 (부산 명륜동) - 『2003 메이데이문화제』 참가
아시아문예센터 홍보를 위한 공연 『히로시마 메시지』 (815 반전서울대회 개막공연, 충북대/울산/부산공연)
2004
『2004 메이데이문화제』 참가
극단새벽 창단 20주년 기념공연 『서른 세대의 하늘』 (경성대 예노소극장, 소극장 실천무대)
2005
『2005 메이데이문화제』 참가
소극장 실천무대 이전 기금마련 공연, 변현주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소극장 실천무대)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경성대 소극장)
2006
소극장 실천무대 이전 개관 (부산 광복동) - 『2006 메이데이문화제』 참가
재판극 『생과부 위자료 청구소송』, 옴니버스극 『오색삽화』 (소극장 실천무대)
천성산 도롱뇽과 뭇 생명을 위한 연희극 『그리하여 그들은...』 (소극장 실천무대)
한일 옴니버스극 『두개의 시선 : 기억과 목격』 (동경 다키노천 회관/오사카 타카츠키 현대극장)
2007
『새 허생이야기』 (소극장 실천무대, 부산지역 재래시장, 대학 초청순회공연)
한일 옴니버스극 『두개의 시선 : 기억과 목격』 (부산대 10.16기념관)
배우 윤명숙의 쾌유를 염원하는 공연, 변현주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소극장 실천무대)
2008
386세대들을 위한 연극 『홈커밍데이』 (소극장 실천무대)
변현주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소극장 실천무대) - 소극장 페스티벌 참가작
온 가족이 함께 보는 연극 『짜장면 불어요』 (소극장 실천무대)
2009
창단 25주년 행사, 변현주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소극장 실천무대)
변현주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소극장 품 / 극단새벽 창단 25주년 레파토리 순회-울산공연)
『히바쿠샤』,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소극장 실천무대 / 극단새벽 창단 25주년 레파토리 기획공연)
변현주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소극장 축제 / 극단새벽 창단 25주년 레파토리 순회-서울공연)
단막극 릴레이 『우리시대의 삽화』 (소극장 실천무대)
『제1회 연리문화제』 참가
2010
세계 이주노동자들을 위한 연극 『미누, 시즈위 밴지를 만나다』 (부산-소극장 실천무대 / 울산-소극장 품)
텍스트 다시 읽기 『신의 아그네스』 (부산-소극장 실천무대 / 울산-소극장 품)
『제2회 연리문화제』 참가
2011
독후감 연극 『니르바나로 가는 길』 (울산-소극장 품 / 부산-소극장 실천무대)
2012
노래가 있는 연극 『철수와 영희를 위한 콘서트』 (부산-소극장 실천무대 / 울산-소극장 품)
소극장 실천무대 폐관. 이후 효로(曉露)인디아트홀 설립 추진
『대안문화연대』 출범부터 네트워킹 단체로 활동 시작
인디밴드ACT 출범 콘서트 『동. 중. 정』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공개홀)
『연리문화제 워밍업』 참가
대안문화센터 만들기 프로젝트 『콘서트 우공이산Ⅰ : 여기 넘어』 (라이브홀 오즈)
2013
여성 그리고 연극 『우리는 안드로메다에서 왔다』 (부산-자유바다 소극장 / 울산-소극장 품)
『2013 연리문화제』 참가 인디밴드ACT 콘서트 『ACT 2013 생존보고서』 (자유바다 소극장)
2014
인디밴드ACT 『콘서트 우공이산Ⅱ : 대한민국 교육, 안전하지 못하다』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공개홀)
『2014 연리문화제』 참가
창단 30주년 행사, 극단새벽 레퍼토리 희곡선 Ⅰ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발간
갑오농민항쟁 120주년에 부치는 발림극 『새야 매야』 (부산문화회관 중극장, 울산 근로자종합복지회관)
인디밴드ACT 콘서트 『2014 생존보고서 : 짜라투스트라가 니체에게 말했다』 (부산민주공원 소극장)
2015
인디밴드ACT 거리콘서트 『세월호 참사 1년 : 진상을 은폐하는 국가폭력, 참회를 촉구한다』 (부산 광복로)
『2015 연리문화제』 참가 - 『부산오프오프영화제(BOFF)』 참가
인디밴드ACT 『콘서트 우공이산Ⅲ : ...그렇게 산을 옮겼다』 (경성대 콘서트홀)
극단새벽 단막극 모음 『4개의 삽화, 그리고 세월』 (부산-자유바다 소극장 / 울산-소극장 품)
인디밴드ACT 연대투어 콘서트 『2015 생존보고서』
(부산 생탁, 택시노동자 농성광장 / 서울 광화문 세월호광장 / 울산과학대 청소노동자 파업 농성장)
2016
인디밴드ACT 『416 기억콘서트』 (부산 광복로) - 『2016 부산오프오프영화제(BOFF)』 참가
단막극 모음 『2016 우리시대의 삽화 : 퍼즐풀이』 (부산-STREET624 / 울산-소극장 품)
2017
효로민락소극장 개관 (부산 수영동, 4/14)
효로민락소극장 개관공연 『인디밴드ACT 콘서트 : 겨운 가슴들이 켜켜이 보태져 봄을 이뤘네』
故 윤명숙 배우 10주기 기억공연, 변현주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효로민락소극장)
『노동자대투쟁 30년 계승 추진위원회』 참가 - 『2017 부산오프오프영화제(BOFF)』 참가
『예살림협동조합 극단새벽』 명칭으로 법인 등기, 협동조합 체계로 거듭남
창작부조리극 『옥탑방 두 여자』 (효로민락소극장)
인디밴드ACT 콘서트 『2017 생존보고서 : 바람을 모두어』 (효로민락소극장)
2018
『옥탑방 두 여자』 (부산 재공연-효로민락소극장 / 울산-소극장 품)
『극단새벽 단막극 레퍼토리 모음』 (효로민락소극장)
2019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부산-효로민락소극장 / 울산-중구문화의전당)
『히로시마 메시지』 (효로민락소극장)
2020
『그 여자의 소설』(효로민락소극장)
시민사회와 함께 만드는 테마연극제 '시선' 공동주최
2021
시민사회와 함께 만드는 테마연극제 '2021, 그 후' 공동주최
2022
8월 1일 『 효로인디아트홀』 입주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로 761-1, 2층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수로235번길 7)
시민사회와 함께 만드는 테마연극제 'STOP Doing It' 공동주최
2023
9월 14일 ~ 12월 3일
현대문학탐구시리즈1_이태준 편 『 성북동˙그 곳』 (효로인디아트홀 소극장)
2024
4월 4일 ~ 4월 27일
다시보는 극단새벽 단막극 레파토리 모음 『 RE;PLAY우리시대의삽화』(효로인디아트홀 소극장)
창단40주년 기념 레파토리 연희극 판놀음 『 새 허생 이야기 』 (효로인디아트홀 소극장)
극단새벽과 인디밴드ACT가 함께하는 토크콘서트 『 여덟 번의 오년』 (효로인디아트홀 소극장)
1984
극단 『두레』 창단 (7월 1일) - 창단공연 『새 할미 전』 (시민회관 대극장)
1985
소극장 두레마당 개관 (부산 서면), 세태풍자극 『시절 한 번 좋구나.』 (소극장 두레마당)
소극장 두레마당 이전 개관 (부산 자갈치), 본격적인 소극장 운동을 시작
1986
극단두레 새해맞이 시민초청 마당놀이 『맹진사댁 경사』 (부산구덕실내체육관)
1987
판놀음 『방자와 마당쇠(이후, ‘새 허생 이야기’로 작품명 변경함)』 (소극장 두레마당)
어린이들을 위한 연극 『청개구리는 날이 궂으면 왜 우는가.』 (태화쇼핑 이벤트홀)
1988
판놀음 『방자와 마당쇠(이후, ‘새 허생 이야기’로 작품명 변경함)』 (소극장 두레마당)
어린이들을 위한 연극 『청개구리는 날이 궂으면 왜 우는가.』 (태화쇼핑 이벤트홀)
1989
참교육과 교단 민주화를 위한 공연 『수/우/미/양/가』 (소극장 두레마당, 6개지역 순회공연)
다국적 기업 한국모토로라 노동조합 쟁취일지 『노동수첩』 (소극장 두레마당, 노동현장 순회공연)
1990
소극장 두레마당 이전 개관 (부산 대연동)
섬유산업 노동자들을 위한 연극 『다시 서는 사람들』 (소극장 두레마당, 대학 초청공연)
언론 민주화와 언론 노동자들을 위한 공연 『나랏님 말싸미』(소극장 두레마당, KBS/MBC 각 지역 노동조합 순회초청공연)
1991
소극장 두레마당 잠정 폐관, 이후 극장 건립을 위한 계획 추진
노래극 『전선-91』 (공업대 체육관, 민족굿터 신명천지, 광주 YMCA강당)
현실상황극 『지금·이곳-!』 (민족굿터 신명천지)
1992
우끼시마호 폭침 사건 추적극 『폭침-우키시마호는 부산항으로 못 간다!』
(서울 예술극장 한마당, 광주 민들레 소극장, 논산/이리/군산 3개지역 순회공연, 가마골 소극장)
1993
『폭침-우키시마호는 부산항으로 못 간다!』 (부산시민회관 소극장), 『아이꼬의 노래』 (가마골소극장)
『오월 참회록』 (대학 초청순회공연)
1994
갑오농민항쟁 100주년 기념공연 『새야 새야』 (서울문예회관 대극장, 일본 교토/고베/오사카 순회공연)
극단새벽 창단 10주년 행사 (부산KBS홀)
소극장 실천무대 개관 (부산 부전동)
1995
원폭 피해자들을 위한 공연 『히바쿠샤』 (시민회관 대극장, 문화회관 대극장, 소극장 실천무대)
『피의자-우키시마호 폭침에 관한 단상』, 판놀음 『새 허생이야기』 (소극장 실천무대)
『제1회 아시아연극인페스티발』 기획 (서울·부산 동시 개최 / 서울 동숭아트센터, 부산 경성대 콘서트홀)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어머니들을 위한 공연 『어머니』 (경성대 콘서트홀)
1996
한국문학 재해석 『B사감과 러브레터』, 『피의자-우키시마호 폭침에 관한 단상』 (소극장 실천무대)
이 땅의 어머니와 딸들을 위한 공연, 윤명숙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소극장 실천무대)
1997
윤명숙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공주 아시아 1인극제 참가, 소극장 실천무대 앵콜공연)
세태풍자극 『아닌 밤중에!』 (소극장 실천무대)
『제2회 아시아연극인페스티발』 기획 (부산문화회관, 경성대 콘서트홀, 태양아트홀, 소극장 실천무대)
철거민과 달동네 사람들을 위한 공연, 노래가 있는 연극 『달과 곱추』 (소극장 실천무대)
1998
여성들을 위한 공연 『생과부 위자료 청구소송』, 현실상황극 『이의 있습니다』 (소극장 실천무대),
윤명숙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제11회 목포 민족극 한마당 참가)
통일에 대한 다른 해석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경성대 콘서트홀)
『98 메이데이문화제』 참가
1999
해고 노동자들을 위한 세태풍자 연희극 『3인 특별위원』 (소극장 실천무대)
『99 메이데이문화제』 참가
『제3회 아시아연극인페스티발』 참가 (일본 야마구치현 하구루마좌 예술회관)
창단 15주년 행사,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소극장 실천무대)
2000
아시아문예센터 설립 발기인 모집을 위한 공연, 윤명숙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소극장 실천무대)
『2000 메이데이문화제』 참가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민주공원 중극장) -『제13회 민족극한마당』 참가작
아시아문예센터 설립 발기인 모집을 위한 공연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소극장 실천무대)
2001
소극장 실천무대 이전 개관 (부산 서면)
『2001 메이데이문화제』 참가, 『2001 노동단막극제』 기획 및 주관
남아공 인권 문제에 관한 연극 『아일랜드』 (소극장 실천무대)
2002
『2002 메이데이문화제』 참가 서정극 『역전블루스』, 단막극 모음 『우리 시대의 삽화』 (소극장 실천무대)
2003
재판극 『이의 있습니다』 (소극장 실천무대)
소극장 실천무대 이전 개관 (부산 명륜동) - 『2003 메이데이문화제』 참가
아시아문예센터 홍보를 위한 공연 『히로시마 메시지』 (815 반전서울대회 개막공연, 충북대/울산/부산공연)
2004
『2004 메이데이문화제』 참가
극단새벽 창단 20주년 기념공연 『서른 세대의 하늘』 (경성대 예노소극장, 소극장 실천무대)
2005
『2005 메이데이문화제』 참가
소극장 실천무대 이전 기금마련 공연, 변현주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소극장 실천무대)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경성대 소극장)
2006
소극장 실천무대 이전 개관 (부산 광복동) - 『2006 메이데이문화제』 참가
재판극 『생과부 위자료 청구소송』, 옴니버스극 『오색삽화』 (소극장 실천무대)
천성산 도롱뇽과 뭇 생명을 위한 연희극 『그리하여 그들은...』 (소극장 실천무대)
한일 옴니버스극 『두개의 시선 : 기억과 목격』 (동경 다키노천 회관/오사카 타카츠키 현대극장)
2007
『새 허생이야기』 (소극장 실천무대, 부산지역 재래시장, 대학 초청순회공연)
한일 옴니버스극 『두개의 시선 : 기억과 목격』 (부산대 10.16기념관)
배우 윤명숙의 쾌유를 염원하는 공연, 변현주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소극장 실천무대)
2008
386세대들을 위한 연극 『홈커밍데이』 (소극장 실천무대)
변현주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소극장 실천무대) - 소극장 페스티벌 참가작
온 가족이 함께 보는 연극 『짜장면 불어요』 (소극장 실천무대)
2009
창단 25주년 행사, 변현주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소극장 실천무대)
변현주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소극장 품 / 극단새벽 창단 25주년 레파토리 순회-울산공연)
『히바쿠샤』,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소극장 실천무대 / 극단새벽 창단 25주년 레파토리 기획공연)
변현주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소극장 축제 / 극단새벽 창단 25주년 레파토리 순회-서울공연)
단막극 릴레이 『우리시대의 삽화』 (소극장 실천무대)
『제1회 연리문화제』 참가
2010
세계 이주노동자들을 위한 연극 『미누, 시즈위 밴지를 만나다』 (부산-소극장 실천무대 / 울산-소극장 품)
텍스트 다시 읽기 『신의 아그네스』 (부산-소극장 실천무대 / 울산-소극장 품)
『제2회 연리문화제』 참가
2011
독후감 연극 『니르바나로 가는 길』 (울산-소극장 품 / 부산-소극장 실천무대)
2012
노래가 있는 연극 『철수와 영희를 위한 콘서트』 (부산-소극장 실천무대 / 울산-소극장 품)
소극장 실천무대 폐관. 이후 효로(曉露)인디아트홀 설립 추진
『대안문화연대』 출범부터 네트워킹 단체로 활동 시작
인디밴드ACT 출범 콘서트 『동. 중. 정』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공개홀)
『연리문화제 워밍업』 참가
대안문화센터 만들기 프로젝트 『콘서트 우공이산Ⅰ : 여기 넘어』 (라이브홀 오즈)
2013
여성 그리고 연극 『우리는 안드로메다에서 왔다』 (부산-자유바다 소극장 / 울산-소극장 품)
『2013 연리문화제』 참가 인디밴드ACT 콘서트 『ACT 2013 생존보고서』 (자유바다 소극장)
2014
인디밴드ACT 『콘서트 우공이산Ⅱ : 대한민국 교육, 안전하지 못하다』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공개홀)
『2014 연리문화제』 참가
창단 30주년 행사, 극단새벽 레퍼토리 희곡선 Ⅰ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발간
갑오농민항쟁 120주년에 부치는 발림극 『새야 매야』 (부산문화회관 중극장, 울산 근로자종합복지회관)
인디밴드ACT 콘서트 『2014 생존보고서 : 짜라투스트라가 니체에게 말했다』 (부산민주공원 소극장)
2015
인디밴드ACT 거리콘서트 『세월호 참사 1년 : 진상을 은폐하는 국가폭력, 참회를 촉구한다』 (부산 광복로)
『2015 연리문화제』 참가 - 『부산오프오프영화제(BOFF)』 참가
인디밴드ACT 『콘서트 우공이산Ⅲ : ...그렇게 산을 옮겼다』 (경성대 콘서트홀)
극단새벽 단막극 모음 『4개의 삽화, 그리고 세월』 (부산-자유바다 소극장 / 울산-소극장 품)
인디밴드ACT 연대투어 콘서트 『2015 생존보고서』
(부산 생탁, 택시노동자 농성광장 / 서울 광화문 세월호광장 / 울산과학대 청소노동자 파업 농성장)
2016
인디밴드ACT 『416 기억콘서트』 (부산 광복로) - 『2016 부산오프오프영화제(BOFF)』 참가
단막극 모음 『2016 우리시대의 삽화 : 퍼즐풀이』 (부산-STREET624 / 울산-소극장 품)
2017
효로민락소극장 개관 (부산 수영동, 4/14)
효로민락소극장 개관공연 『인디밴드ACT 콘서트 : 겨운 가슴들이 켜켜이 보태져 봄을 이뤘네』
故 윤명숙 배우 10주기 기억공연, 변현주 1인극 『어머니 날 낳으시고...』 (효로민락소극장)
『노동자대투쟁 30년 계승 추진위원회』 참가 - 『2017 부산오프오프영화제(BOFF)』 참가
『예살림협동조합 극단새벽』 명칭으로 법인 등기, 협동조합 체계로 거듭남
창작부조리극 『옥탑방 두 여자』 (효로민락소극장)
인디밴드ACT 콘서트 『2017 생존보고서 : 바람을 모두어』 (효로민락소극장)
2018
『옥탑방 두 여자』 (부산 재공연-효로민락소극장 / 울산-소극장 품)
『극단새벽 단막극 레퍼토리 모음』 (효로민락소극장)
2019
『어느 골짜기에 관한 논쟁』 (부산-효로민락소극장 / 울산-중구문화의전당)
『히로시마 메시지』 (효로민락소극장)
2020
『그 여자의 소설』(효로민락소극장)
시민사회와 함께 만드는 테마연극제 '시선' 공동주최
2021
시민사회와 함께 만드는 테마연극제 '2021, 그 후' 공동주최
2022
8월 1일 『 효로인디아트홀』 입주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로 761-1, 2층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수로235번길 7)
시민사회와 함께 만드는 테마연극제 'STOP Doing It' 공동주최
2023
9월 14일 ~ 12월 3일
현대문학탐구시리즈1_이태준 편 『 성북동˙그 곳』 (효로인디아트홀 소극장)
2024
다시보는 극단새벽 단막극 레파토리 모음 『 RE;PLAY우리시대의삽화』 (효로인디아트홀 소극장)
창단40주년 기념 레파토리 연희극 판놀음 『 새 허생 이야기 』 (효로인디아트홀 소극장)
극단새벽과 인디밴드ACT가 함께하는 토크콘서트 『 여덟 번의 오년』 (효로인디아트홀 소극장)